아래 사진은 토픽이미지 계약 작가의 작품입니다..
▽
주흘산,문경시,경북(2009)
artist: Y.S. Im
ⓒ743325/Topicimages(토픽이미지)
http://www.topicimages.com
^^
▽
주흘관(영남제1관문),문경새재,문경시,경북(2005)
artist: D.M. Shin
ⓒ591994/Topicimages(토픽이미지)
^^
▽
문경새재,주흘산,문경시,경북(2007)
artist: M.B. Hwang
ⓒ664155/Topicimages(토픽이미지)
^^
▽
주흘관(영남제1관문),문경새재,문경시,경북(2006)
artist: D.J. Go
ⓒ612095/Topicimages(토픽이미지)
^^
^^
사진 액자가 필요하세요??
이곳의 사진을 인화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액자를 제작, 배송해 드립니다..
^^
주흘산[主屹山]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에 있는 산. 높이 1,106m. 소백산맥에 솟아 있다.
서쪽으로 조령천을 사이에 두고 조령산(鳥嶺山:1,017m)과 마주보며, 포암산(布巖山:962m)·
신선봉(967m)·대미산(1,115m) 등과 함께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이룬다.
서쪽과 남서쪽 사면을 제외하면 대체로 급경사를 이루며, 깎아지른 듯한 거대한 암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쪽과 서쪽에서 발원하는 물은 신북천과 조령천으로 각각 흘러들며, 높이 10m 정도 되는 여궁폭포·파랑폭포가 있다.
남서쪽 기슭에는 통일신라시대인 846년(문성왕 8)에 보조국사가 창건했으며, 고려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했다는 혜국사(惠國寺)가 있다.
과거에는 고구려와 신라의 경계를 이루기도 했으며, 조령산과 주흘산 가운데의 계곡 길을 따라 문경관문(사적 147호)이 세워졌는데,
제2관문은 1594년(선조 27)에, 제1·3관문은 1708년(숙종 34)에 세워졌다.
이곳은 영남지방과 중부지방을 잇는 교통의 요지였다.
제2·3관문은 현재 복원되어 관광명소와 산책로로 알려져 있으며, 조령제1관문-혜국사-샘터-정상-제2관문으로 이어지는 등산로가 있다.
산의 서쪽 산록에 도로가 나 있어서 문경에서 조령까지 버스가 운행된다.
--
문경새재도립공원[聞慶 ― 道立公園]
경상북도 문경시와 충청북도 괴산군의 경계를 이루는 조령 일대의 공원.
면적 5.3㎢이며, 1981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문경관문과 주흘산·조령산 일대의 사적지 및 자연경관을 포함한다.
조령(642m)은 이화령 북쪽 약 7km 지점인 신선봉(967m)과 조령산(1,017m) 사이에 있다.
철도교통 이전에는 중부지방과 영남지방을 잇는 교통의 요지였으며, 험한 지세를 이용했던 군사상의 요충지였다.
본래 양반이 다녔던 옛고개와 보부상들이 다녔던 큰고개·작은고개,
평민들이 다녔던 가장 험준한 하늘고개 등 4개의 고개가 있었다.
현재 이 길은 이화령에서 수안보로 통하는 국도가 뚫린 후 사적지로 바뀌었다.
이 고개를 이루는 산릉은 남북으로 뻗어 있으며, 동쪽 산곡의 조령천을 따라 나 있는 옛 길에
1708년(숙종 34) 남북 8km를 돌로 쌓고 길 중간에 조령 제1·2·3관문을 세웠다.
이 관문들은 영남에서 한양으로 가는 길로서 박달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제1관문은 주흘관(主屹關)으로 현재에도 옛 모습을 볼 수 있다.
제2관문은 조곡관(鳥谷關)으로 양쪽 절벽이 깎아지른 듯 솟아 있으며, 지금은 문루가 없어진 채 관문만 남아 있다.
제3관문은 조령관(鳥嶺關)이다.
숙종 때 북적을 막기 위해 조령산성을 쌓았으며, 여러 차례의 전란으로 육축(陸築)만 남은 채 불타버렸다.
1976년 복원되어 사적 제147호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주흘산과 조령산 일대는 울창한 숲과 계곡이 어우러져 등산객들의 더위를 식혀주며, 특히 가을단풍과 겨울설경이 빼어나다.
제3관문이 있는 주흘산에는 혜국사와 여궁폭포 등이 있다.
이 산의 대표적인 등산로는 제1관문-여궁폭포-혜국사-샘터-주흘산 정상-제2관문으로 이어지는 길이며,
주변에는 부봉·미역봉·조령계곡·주흘계곡·조령산성·군막터·쌍용폭포·팔왕폭포·대궐터·뱀바위 등이 절경을 이룬다.
특산물로는 도토리묵·산채나물 등이 있으며, 주변 관광지로는 수안보 온천, 월악산국립공원, 김룡사 등이 있다.
유스호스텔을 비롯한 각종 숙박시설·야영장·주차장 등을 갖추고 있으며,
최근에는 풍기-단양, 문경-충주 간의 남북 종관도로에 노폭확장과 포장공사가 이루어져 이 지역의 교통소통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동서울종합 터미널에서 문경까지 30분 간격으로 직행 버스가 있으며, 약 3시간 정도 걸린다.
(출처:Daum백과사전)
^^
▽ 주흘산 위치 지도
^^
한국의100대 명산 요약
■
'한국의비경999'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비경387) 경남 합천군 가야면 매화산 남산제일봉 단풍 (0) | 2013.12.05 |
---|---|
(한국의비경386)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산 운문사 아침 (0) | 2013.12.05 |
(한국의비경384) 서울 노원구 상계동 수락산 일출 (0) | 2013.12.04 |
(한국의비경383) 전북 고창군 성내면 동림저수지 가창오리 군무 (0) | 2013.12.04 |
(한국의비경382) 강원도 인제군 남면 인제빙어축제 빙어낚시 (0) | 2013.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