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러스트=이철원

[최영미의 어떤 시] [72] 담벼락 틈새에 피어난 꽃 (Flower in the Crannied Wall)

최영미 시인·이미출판 대표
입력 2022.05.30 00:00

그림=이철원

갈라진 담벼락에 피어난 꽃이여,

틈새에서 너를 뽑아

내 손에 들었네,

여기 너의 뿌리며 모두 다 있네,

작은 꽃-네가 무엇인지,

너의 뿌리와 전부를

내가 이해할 수 있다면,

신과 인간이 무엇인지 알게 되겠지.

-알프레드 테니슨(Alfred Tennyson·1809~1892)
Flower in the Crannied Wall (시 원문)

Flower in the crannied wall,

I pluck you out of the crannies,

I hold you here, root and all, in my hand,

Little flower—but if I could understand

What you are, root and all, all in all,

I should know what God and man is.

-Alfred Tennyson (1809~1892)

길을 걷다가 담벼락 틈새에 피어난 작은 꽃을 보고 황홀해하던 기억이 누구든 있을 것이다. 벽이든 아스팔트 바닥이든 자그마한 틈새만 있어도 뿌리를 내리는 그 강인한 생명력. 꽃밭에 오종종 모여 있는, 화훼 전시장에 진열된 화려하고 늠름한 꽃들보다 우연히 발견한 시멘트 틈새의 꽃이 내겐 더 아름답다.

살아있는 꽃을 그는 왜 꺾어야 했나. 한 송이 꽃을 통해 신과 자연, 그리고 인간을 말하는 철학적인 시의 2행에 나오는 동사 “뽑아 (pluck)”가 거슬렸다. 테니슨이 이 시를 쓴 해는 1863년, 식물학이 눈부시게 발전해 꽃 한 송이를 낱낱이 해부하면 그 종의 기원과 생명의 비밀까지도 인간이 알 수 있다는 과학적 낙관주의가 영국을 지배하던 시기. 1859년 ‘종의 기원’을 발표한 다윈(Charles Darwin·1809~1882)은 테니슨과 같은 해에 태어났다. 벽에 핀 작은 꽃도 뽑아 철저히 관찰하고 통찰했던 산업혁명의 시대, 대영제국의 현미경처럼 위대한 예술.

 

원글: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2/05/30/SCA3D3I5L5B7JBHZPKPRNDMTJ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