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모 기자
입력 2023.11.08. 15:36 업데이트 2023.11.08. 18:50
취업자의 절반 이상은 조만간 직장을 잃거나 바꿔야 한다는 불안감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13~24세)과 청년(19~34세)의 대기업 취업 선호는 더 강해지고, 공무원이 되고 싶다는 비율은 10년 만에 거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돈 많이 주는 직장이 최고’란 인식도 강해졌다는 분석이다.
통계청은 8일 만 13세 이상 3만6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3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19세 이상 취업자 중 평소 가까운 미래에 직장을 잃거나 옮겨야 한다는 불안함을 느끼는 사람은 54.6%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2021년 조사보다 0.7%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이 조사는 2년마다 한다.
실직·이직에 대한 불안감은 남성(54.9%)이 여성(54.3%)보다 컸고, 연령별로는 40대(57.1%)·50대(56.4%)·30대(56.3%) 순으로 높았다. 직장별로는 기능노무직(58.9%)이나 서비스판매직(58.3%) 근무자의 불안감이 상대적으로 컸다.
청년과 청소년들의 대기업 선호도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들이 선호하는 직장으로 ‘대기업’을 꼽은 비율은 올해 27.4%로, 공기업(18.2%)과 국가기관(16.2%) 선호보다 많았다. 대기업 선호 비율은 2021년 21.6%로 공기업(21.5%)·국가기관(21.0%)을 누르고 1위로 올라선 바 있다. 올해 대기업 선호가 더 높아졌고, 공기업, 공무원 등의 선호는 더 낮아졌다. 국가기관에 취업해 공무원이 되고 싶어하는 청년과 청소년 비율은 2013년 28.6%에서 올해(16.2%) 거의 절반 수준으로 깎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MZ 세대는 취업할 때 ‘안정’보다는 ‘돈’을 우선시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공무원의 수직적 직장 문화 이미지 등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모든 연령에서 직업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 ‘수입’(40.9%)을 꼽은 사람은 ‘안정성’(22.1%)을 꼽은 사람의 거의 두 배 수준이었다. 적성·흥미(13.9%)는 3순위였다.
원글: https://www.chosun.com/economy/economy_general/2023/11/08/OLDGU7RSTNB7XE5T7ADDJPKJPY/
'일러스트=이철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30 플라자] 메가시티… 고향엔 영화관이 없어 청주로 가야 했다 (1) | 2023.11.09 |
---|---|
[만물상] 암표상의 진화 (3) | 2023.11.09 |
이준석, 식당 옆방서 “안철수씨 조용히 하세요” (0) | 2023.11.08 |
[유현준의 도시 이야기] UAE 친환경도시 ‘마스다르’, 과연 태양광만으로 가능할까 (0) | 2023.11.08 |
‘공매도’ 400년 흑역사 [만물상] (0) | 2023.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