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비경999

(한국의비경255) 충남 부여군 부여읍 궁남지 연꽃

아래 사진은 토픽이미지 계약 작가의 작품입니다..

스톡작가모집(클릭)


연꽃,궁남지,부여군,충남(2012)
artist: K.J. Kim
ⓒ870450/Topicimages(토픽이미지)
http://www.topicimages.com
^^


연꽃,궁남지,부여군,충남(2007)
artist: S.Y. Park
ⓒ654869/Topicimages(토픽이미지)
^^


연꽃,궁남지,부여군,충남(2011)
artist: B.Y. Lee
ⓒ843725/Topicimages(토픽이미지)
^^

^^

사진 액자가 필요하세요??

이곳의 사진을  인화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액자를 제작, 배송해 드립니다..

^^

부여 궁남지(扶餘 宮南池)는
백제의 별궁(別宮) 연못. 사적 제135호.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東南里) 소재. ‘마래방죽’이라고도 한다.
부여읍에서 남쪽으로 약 1km 지점에 있으며, 동쪽에는 초석(礎石)이 남아 있고, 주변에 옛 기와가 많이 산재하여 있다.
또 부근에는 대리석을 3단으로 쌓아올린 팔각형의 우물이 있는데, 지금도 음료수로 사용되고 있다.
이 궁남지는 백제 무왕(武王)의 출생설화와도 관계가 있다.
무왕의 부왕인 법왕(法王)의 시녀였던 여인이 못가에서 홀로 살다 용신(龍神)과 통하여 아들을 얻었는데,
그 아이가 신라 진평왕(眞平王)의 셋째딸인 선화공주(善花公主)와 결혼한 서동(薯童)이며,

아들이 없던 법왕의 뒤를 이은 무왕이 바로 이 서동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설화는 이곳이 별궁터였고 궁남지가 백제 왕과 깊은 관계가 있는 별궁의 연못이었음을 추측하게 한다.
백제의 정원(庭園)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한편, 《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궁남지의 조경(造景) 기술이 일본에 건너가

일본 조경의 원류(源流)가 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출처:네이버사전)

^^

▽ 부여 궁남지 위치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