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사진은 토픽이미지 계약 작가의 작품입니다..
▽
신륵사,남한강,여주군,경기도(2012)
artist: J.K. Kim
ⓒ863225/Topicimages(토픽이미지)
http://www.topicimages.com
^^
▽
신륵사,남한강,여주군,경기도(2012)
artist: J.K. Kim
ⓒ863223/Topicimages(토픽이미지)
^^
▽
은행나무,비각,신륵사,봉미산,여주시,경기도(2013)
artist: J.K. Kim
ⓒ947045/Topicimages(토픽이미지)
^^
▽
단풍나무,신륵사다층전탑(보물226호),신륵사,봉미산,여주시,경기도(2013)
artist: J.K. Kim
ⓒ947046/Topicimages(토픽이미지)
^^
▽
강월헌,신륵사,남한강,여주군,경기도(2012)
artist: J.K. Kim
ⓒ854967/Topicimages(토픽이미지)
^^
▽
신륵사다층전탑(보물226호),신륵사,여주군,경기도(2013)
artist: K.S. Kim
ⓒ909805/Topicimages(토픽이미지)
^^
^^
사진 액자가 필요하세요??
이곳의 사진을 인화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액자를 제작, 배송해 드립니다..
^^
신륵사[神勒寺]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천송리 봉미산 기슭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이다.
신라 진평왕(579~631 재위) 때 원효(元曉)가 창건했다고 하나 정확하지 않으며,
신륵사라 부르게 된 유래에 대한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동국여지승람〉 권7 여주목불우조(驪州牧佛宇條)에 의하면
신륵사는 보은사(報恩寺) 또는 벽사(璧寺)라고도 불렀다고 한다.
벽사는 고려시대에 경내의 동쪽 언덕에 벽돌로 된 다층전탑이 세워지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절이 대찰(大刹)이 된 것은 나옹화상(懶翁和尙:혜근)이 입적할 때 기이한 일이 일어난 뒤부터이다.
1379년(우왕 5) 각신(覺信)·각주(覺珠) 등이 절의 북쪽에 사리를 봉안한 부도와
나옹의 초상화를 모신 선각진당(先覺眞堂)을 세우면서 많은 전각을 신축하고 중수했다.
1382년에는 2층의 대장각(大藏閣) 안에 이색과 나옹의 제자들이 발원해 만든 대장경을 봉안했다.
조선시대에는 억불정책으로 인해 절이 위축되었으나 1469년(예종 1)에 영릉(英陵:세종의 능)의 원찰(願刹)이 되었고,
1472년(성종 3) 절이 확장되고 다음해에 정희왕후가 보은사로 개칭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양란으로 폐허가 되었다가 1671년(현종 12)에는 계헌(戒軒)이,
1702년(숙종 28)에는 위학(偉學)·천심(天心) 등이 중수했다.
1858년(철종 9) 순원왕후(純元王后)가 내탕전(內帑錢)을 희사해 중수했다.
현존 당우로는 금당인 극락보전을 비롯하여 여주 신륵사 조사당(驪州 神勒寺 祖師堂:보물 제180호)·
명부전·심검당·적묵당·노전(爐殿)·칠성각·종각·구룡루(九龍樓)·시왕전 등이 있다.
또한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보물 제225호)·여주 신륵사 다층전탑(보물 제226호)·
보제존자석종(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鐘:보물 제228호)·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보물 제229호)·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驪州 神勒寺 大藏閣記碑:보물 제230호)·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보물 제231호) 등과 같은 문화재들이 있다.
(출처:Daum사전)
^^
▽ 여주 신륵사 위치 지도
■
'한국의비경999'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비경382) 강원도 인제군 남면 인제빙어축제 빙어낚시 (0) | 2013.12.04 |
---|---|
(한국의비경381) 충북 옥천군 옥천읍 용암사 일출 (0) | 2013.12.04 |
(한국의비경379)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 평화누리공원 (0) | 2013.12.03 |
(한국의비경378) 전남 곡성군 오곡면 섬진강기차마을 (0) | 2013.12.03 |
(한국의비경377)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 심학산 돌곶이 꽃축제 (0) | 2013.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