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사진은 토픽이미지 계약 작가의 작품입니다..
▽
용암사,옥천군,충북(2012)
artist: H.T. Kim
ⓒ891206/Topicimages(토픽이미지)
http://www.topicimages.com
^^
▽
용암사,옥천군,충북(2008)
artist: D.J. Go
ⓒ719684/Topicimages(토픽이미지)
^^
▽
용암사,옥천군,충북(2010)
artist: N.H. Kim
ⓒ792200/Topicimages(토픽이미지)
^^
▽
용암사마애불,용암사,옥천군,충북(2011)
artist: S.P. Lee
ⓒ846225/Topicimages(토픽이미지)
^^
^^
사진 액자가 필요하세요??
이곳의 사진을 인화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액자를 제작, 배송해 드립니다..
^^
용암사[龍巖寺]
충청북도 옥천군 옥천읍 삼청리 장령산(長靈山)에 있는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말사이다.
천축국(天竺國)에 갔다가 귀국한 의신조사(義信祖師)가
552년(진흥왕 13)에 창건하였으며, 법주사의 창건보다 1년이 앞선다.
사찰명은 경내에 용처럼 생긴 바위가 있어서 용암사로 이름 지었으나,
민족 항일기 때 일본인의 손에 용바위는 파괴되어 현재에는 그 흔적만이 남아 있다.
그러나 중창 역사는 거의 전해지지 않고 있다.
다만, 신라 말 마의태자(麻衣太子)가 금강산으로 가던 길에 잠시 머물러
용바위 위에 서서 신라의 서울이 있는 남쪽 하늘을 보며 통곡하였다는 설과,
수많은 당우로 산야를 메웠던 사찰이 임진왜란의 병화로 폐허화되었다는 설만이 전해지고 있다.
그 뒤 이 절은 명맥만을 유지하다가 최근에 대웅전을 비롯한 요사채 3동을 중건하였다.
대웅전 안에는 석가모니불과 5종의 탱화가 봉안되어 있는데,
이 중 화법이 정교한 후불탱화(後佛幀畵)와 1877년(고종 14)에 조성된 신중탱화(神衆幀畵)는 가치가 있는 작품이다.
지정문화재로는 쌍석탑(雙石塔)과 마애불이 있다.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3호인 쌍석탑은 2층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것으로 고려시대의 작품이며, 높이는 약 4m이다.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17호인 마애불은 높이 3m에 고려 중기의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사찰에서는 마의태자상이라고 한다.
마의태자를 추모하였던 신라의 공장(工匠) 후손이 염불하는 태자의 모습을 그리워하며 미륵불을 조각하였다고 한다.
이 마애불은 영험이 있어 기도하면 이루어지지 않음이 없다고 전하고 있다.
^^
▽ 옥천 용암사 위치 지도
■
'한국의비경999'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비경383) 전북 고창군 성내면 동림저수지 가창오리 군무 (0) | 2013.12.04 |
---|---|
(한국의비경382) 강원도 인제군 남면 인제빙어축제 빙어낚시 (0) | 2013.12.04 |
(한국의비경380) 경기도 여주시 오학동 신륵사 봄 여름 가을 겨울 (0) | 2013.12.03 |
(한국의비경379)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 평화누리공원 (0) | 2013.12.03 |
(한국의비경378) 전남 곡성군 오곡면 섬진강기차마을 (0) | 2013.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