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연 산마루교회 목사
입력 2022.03.18 03:00
두툼한 편지 한 통이 왔다. ‘OOO 드림’! 참으로 반가웠다. 그 이름 수년 만이다. 깨끗한 글씨로 또박또박 몇 장이나 되었다. 그런데 한 자, 한 자, 한 문장, 한 문장이 이어져 가는데 마침내는 상상조차 할 수 없는 협박문으로 귀결되고 있었다. 몇 월 며칠까지 1000만원 이상을 통장으로 보내지 않으면 법원과 언론에 고발하겠단다. 액수는 봐주는 것이란다! 순식간에 마음은 배반감! 분노로 불타오르다가 허망함으로 구멍이 났다. 2년간 신성한 노동력을 착취당했다는 것이다!
그와 함께했던 지난날이 떠올랐다. 산마루 노숙인을 위한 예배에서 그를 처음 만났다. 그 후 사랑의 농장에서 회복의 기간을 보내며 지냈다. 어렵고 힘들어도 늘 웃으며 이겨내는 것을 보면서 그에게서 희망을 보았다. 그래서 공동체 들어가서 자립하도록 해보라 하였다. 농지 1만2000평을 무상 임대받아, 노숙인 자립 자활을 위하여 만든 공동체이다.
시작하던 때이니 형편이 좋지 않았다. 하지만 다시 서울역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숙소 리모델링도 좋게 한다고 했다. 우리 집 싱크대보다는 나았다. 염소 98마리, 닭도 300마리 가까이 마련했다. 3000평 고추 농사를 지을 수도 있었다. 이때 의식주를 다 해결해 주고, 농사비 일체를 제공했다. 스스로 땀 흘려, 스스로 일어나도록 뒷받침한다고 한 것이다. 모두 고생이 심했다. 그래서 이익금을 나누어 주는 것이 아니라 판매금을 나누어 주었다.
하지만, 고추 판매금의 일부는 한 형제가 가지고 사라졌다. 염소는 10여 마리 판매한 것 외에 50여 마리가 사라졌다. 숙소는 어느 날 오후 전소되었다. 이 와중에 화재 조사받으러 갔다가, 예전에 벌금 900여만원 내지 않은 것이 드러나 수감된 이가 바로 이번 편지의 발신인이다. 그때 일들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갔다. 교우들이 수감된 그를 위해 기도하고, 내가 탄원서를 의정부 교도소장에게 전하고, 추운 겨울 수차례 면회 가던 일들이 떠올랐다. 그리고 석 달 후, 한 교우가 벌금 400여만원을 대납하여 그가 출소할 수 있었다. 그날 온 교우가 기뻐하던 일이 떠올랐다.
나는 당시의 장부를 꺼내 보았다. 편지를 보낸 이가 20여 차례 가불하여 간 일들과, 여전히 갚지 않은 수백만 원의 기록도 있었다. 고통은 남고 은혜는 지워지는 것인가? 나는 한동안 기도 끝에, 무슨 사정이 있으려니 하여, 그분을 오라 하였다. 그는 봉사자들과 상담을 하고는 내게 왔다. 눈물을 흘리며 말했다. “목사님, 제가 귀신에 씌었지, 왜 목사님 같은 분에게 그랬는지 모르겠습니다! 집세를 해결할 일이 있습니다. 그것만 해결해 주시면 됩니다.” 조금 더 보태서 요청대로 응하였다.
원글: https://www.chosun.com/opinion/specialist_column/2022/03/18/5HTSR6CEVZBBZAGKAEI7TGVIVY/
'일러스트=이철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尹, 주변에 “권성동 나와 동급”... 權 의원은 “난 쓴소리꾼” (0) | 2022.09.14 |
---|---|
[김철중의 생로병사] 제 목소리 크게 들려 남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 사람들 (0) | 2022.09.14 |
[김윤덕의 新줌마병법] 아내가 복싱을 배우기 시작했다 (0) | 2022.09.14 |
KGB 출신 푸틴, 정보 조작·보안에 왜 실패했을까 [박상현의 디지털 읽기] (0) | 2022.09.14 |
[우석훈의 문화경제시대] 학교 도서관, 다음 세대에게 줄 최고의 선물 (0) | 2022.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