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러스트=이철원

원전 78기로 늘리는 중국, 서해에 집중… 곧 佛 제치고 세계 2위

강다은 기자
입력 2023.06.05. 03:30 업데이트 2023.06.05. 06:29

그래픽=이철원

55기 가동 중… 23기 더 짓고 있다

중국이 공격적으로 원자력 발전을 확대하며 조만간 원전 가동 규모에서 프랑스를 제치고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에 오른다. 중국 경제가 급성장하면서 전력 부족과 탄소 배출 문제가 심각해지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으로 눈을 돌렸기 때문이다. 원전은 운영 과정에 냉각수가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로 해안가에 많이 짓는다. 이런 탓에 중국이 가동 중이거나 새로 짓는 원전 대부분이 우리나라와 가까운 동부 연안에 몰려 있다. 전문가들은 투명한 정보 공개 등 원전 운영·안전과 관련해 양국 정부 협력이 강화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中, 건설 중인 원전 23기... 세계 2위 오른다

4일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 세계에서 가동 중인 원전은 436기다. 미국이 93기로 가장 많다. 이어 프랑스(56기)·중국(55기)·러시아(37기) 순이다. 우리나라는 25기를 운영 중이다.

원자력 발전 상위국 중 특히 중국의 확대 속도는 압도적이다. 중국은 지금도 원전 23기를 건설 중인데 이는 전 세계에서 건설 중인 원전(59기)의 40%에 육박한다. 현재 가동 원전 수 기준으로 1~2위인 미국과 프랑스는 각각 1기를 건설 중이다. 중국은 조만간 프랑스를 제치고 미국에 이어 가동 원전 규모 세계 2위가 된다. 이와 별도로 전 세계에서 정부 건설 승인이 났거나 자금 확보가 확정돼 15년 내 운영이 가능한 ‘건설 예정’ 원전이 100기인데 이 중 중국이 45기다. 십수 년 뒤면 중국은 미국까지 제치고 원전을 가장 많이 가동하는 나라가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원전 확대는 전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과도한 석탄 에너지 의존을 낮추는 것은 물론 장기적으로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중국은 경제 성장과 함께 전기 수요가 급증하면서 만성적인 전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원전을 크게 늘렸지만, 전체 전력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 정도에 불과해 여전히 약 70%(2019년 기준) 전기를 석탄에 의존하고 있다. 포브스는 “중국은 원전에 필요한 장비, 원자로 기술 등 전체 원자력 공급망을 갖춰 에너지 안보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는 2021년 3월 ‘14차 5개년 계획’에서 2020년 말 51GW(기가와트)인 원전 설비 용량을 2025년 말까지 70GW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새로 짓는 원전의 설비 규모가 1.4GW인 점을 감안하면 13~14기를 더 짓겠다는 것이다.

◇중국 원전 대부분, 한국과 가까운 동부 연안에

중국의 원전 확대는 한국 원전 산업과 수출에 상당한 위협이 된다. 자국 내에서 원전 건설 경험을 바탕으로 중국은 파격적인 자금 지원을 통해 원전 수출에 나서고 있다. 현재 파키스탄·루마니아·아르헨티나·남아프리카·이란·이집트·수단 등에서 원전을 건설 중이거나 수출을 추진 중이다. WNA(세계원자력협회)는 “중국이 원전을 확장하며 원전 부품을 포함한 원자력 기술 수출 확대까지 노리고 있다”고 했다.

또 중국이 가동 중인 원전 대부분이 광둥성(14기)·저장성(11기)·장쑤성(6기)·랴오닝성(6기) 등 동부 연안에 몰려 있다. 건설 중인 원전 23기도 마찬가지다. 한국과 가장 가까운 산둥성에도 4기가 신규로 들어설 예정이다. 중국 경제가 동부 연안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면서 전력 수요가 커졌기 때문이다. 중국은 또 동부 연안에 해상 원전도 짓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중국의 원전 안전 이슈가 한국에서 중요한 문제로 떠오를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일본보다 많은 원전을 한국과 가까운 지역에서 가동하는 데다가 삼중수소 배출량 등 원전 운전과 관련한 정보를 정확히 밝히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송종순 조선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는 “중국은 원전과 관련해 글로벌 기준보단 자체 기준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안전 기준도 다른 측면이 있어 이와 관련해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해야 한다”며 “자연재해 등으로 혹시 모를 비상 상황에 대비해 조기경보시스템을 만들어 놓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종순 교수


원글: https://www.chosun.com/economy/industry-company/2023/06/05/V2U7L3657ZENPB5VY5PKDYJLW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