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사진은 토픽이미지 계약 작가의 작품입니다..
▽
경포대,강릉시,강원도(2012)
artist: D.J. Go
ⓒ856925/Topicimages(토픽이미지)
http://www.topicimages.com
^^
▽
소나무,경포대,강릉시,강원도(2010)
artist: J.M. Choi
ⓒ781894/Topicimages(토픽이미지)
^^
▽
경포대,강릉시,강원도(2012)
artist: H.S. Bang
ⓒ880775/Topicimages(토픽이미지)
^^
▽
경포대,강릉시,강원도(2013)
artist: D.J. Go
ⓒ916785/Topicimages(토픽이미지)
^^
^^
사진 액자가 필요하세요??
이곳의 사진을 인화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액자를 제작, 배송해 드립니다..
^^
경포대[鏡浦臺]
강원도 강릉시 저동의 경포호수 북안(北岸)에 있는 조선시대 누대(樓臺).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호.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하나로 1326년(충숙왕 13)에 지추부학사(知秋部學士) 박숙(朴淑)이 현재의 방해정(放海亭) 북쪽에 세웠는데,
1508년(중종 3) 부사(府使) 한급(韓汲)이 현위치로 이건(移建)한 후 현재까지 7차에 걸쳐 중수했다.
평면은 앞면 5칸, 옆면 5칸이며 총 28개의 기둥을 두었고, 바닥은 우물마루로 짜여져 있으며
3단의 단차를 두어 사용자의 신분 및 계급에 따라 자리배치를 달리하던 평면에서의 위계(位階)를 보여준다.
또한 벽체의 구성없이 모두 난간을 가설하여 누대가 갖는 공간적인 개방성을 보여준다.
공포는 기둥머리에서부터 초익공이 나와 주두를 감싸면서 상부의 2제공을 받고 있는
이익공(二翼工)으로 그 상부에 재주두를 놓아 대들보를 받고 있다.
기둥 사이의 창방(昌枋) 위에는 앞면과 뒷면에 2구, 옆면에 1구씩의 복화반(覆花盤)을 놓아 구조적 의장재(意匠材)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가구(架構)는 종보·중종보·대들보로 이루어진 7량가로서 매우 화려하게 치장되어 있다.
지붕의 형태는 부연이 가설된 겹처마의 팔작지붕으로서 양측면에 충량이 2개씩 나와
합각부의 무게를 대들보와 측면의 평주로 분산시켜 주고 있으며, 서까래가 보이는 연등천장이다.
내부에는 율곡(栗谷) 선생이 10세 때 지었다는 〈경포대부 鏡浦臺賦〉를 판각(板刻)한 것과
숙종(肅宗)의 〈어제시 御製詩〉를 비롯하여 여러 명사들의 기문(記文)과 시판(詩板)이 걸려 있다.
(출처:Daum사전)
^^
▽ 경포대 위치 지도
■
'한국의비경999'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비경396) 경북 영주시 문수면 무섬마을 (0) | 2013.12.09 |
---|---|
(한국의비경395) 충남 서산시 운산면 개심사의 봄 (0) | 2013.12.09 |
(한국의비경393)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안성남사당공연장 남사당놀이 (0) | 2013.12.05 |
(한국의비경392)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내린천 래프팅 (0) | 2013.12.05 |
(한국의비경391)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 펀치볼해안분지 & 대암산 (0) | 2013.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