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광종의 차이나 별곡

[유광종의 차이나 別曲] [48] 중국의 黑社會

유광종 중국인문경영연구소 소장
입력 2019.07.26. 03:12

건달이나 깡패 등을 일컫는 중국 단어는 유맹(流氓)이다. 본래는 전란이나 재난 등에 쫓겨 정처 없이 떠도는[] 백성[]을 가리켰다. 따라서 유민(流民)이라 적어도 무방하다.

조직을 갖춘 폭력배는 흑사회(黑社會)로 적는다. 현대에 들어와 생긴 조어(造語)다. 전통적 개념은 방회(幫會)다. 먼 거리를 이동하며 스스로 무장해 각종 위험에 대응해야 했던 상인 그룹, 즉 상방(商幫)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청()대에 대운하에서 조운(漕運)에 종사하던 사람들이 조직했던 청방(靑幫)이라는 집단이 아주 유명하다. 지금도 대만에서 명맥을 유지한다. 한때 중국을 다스렸던 장제스(蔣介石)도 이들과 인연을 맺은 적이 있다고 알려졌다.

홍방(紅幫)이라고도 적는 홍문(洪門)도 그렇다. 백련교(白蓮敎), 대도회(大刀會), 가로회(哥老會) 등으로 확산하면서 중국 민간 사회를 주름잡았다. 화교들이 세웠던 치공당(致公黨)은 이들의 한 세력이 정치화한 결과다. 신해혁명(辛亥革命)의 주역인 쑨원(孫文)도 홍문의 일원이었다.

흑사회의 조직은 간단치 않다. 범죄를 저지르고, 행패를 부리는 면모는 극히 일부다. 유명한 정치인과 기업인 등 명망가들이 깊숙이 몸담았던 사례도 적지 않다. 중국이라는 사회에서 출세하려면 두 요소를 다 지녀야 한다고 볼 수도 있다. 흑()과 백()을 동가(同價) 개념으로 병렬하는 중국식 흑백양도(黑白兩道) 사고의 한 단면이다.

홍콩은 홍문의 한 갈래인 삼합회(三合會)로 유명하다. 폭력을 주조(主調)로 하는 홍콩 누아르 영화의 큰 토대다. 반중(反中) 시위에 나선 홍콩인들을 그곳 폭력 조직이 무차별 구타해 또 화제다.

마침 중국에서는 조직 폭력을 뿌리 뽑기 위한 캠페인이 한창이다. 위기감을 느낀 홍콩 폭력 조직들이 중국 당국에 충성을 다짐하려 그랬던 것일까. 어쨌거나 성난 민심에 기름을 부은 형국이라 홍콩 사태는 더 꼬였다.

원글: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7/25/2019072503045.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