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비경999

(한국의비경278) 전북 군산시 옥도면 고군산도 어청도 어청도등대

아래 사진은 토픽이미지 계약 작가의 작품입니다..

스톡작가모집(클릭)


어청도등대,어청도,군산시,전북(2012)
artist: K.J. Kim
ⓒ879369/Topicimages(토픽이미지)
http://www.topicimages.com
^^


어청도등대,어청도,군산시,전북(2012)
artist: K.J. Kim
ⓒ879374/Topicimages(토픽이미지)
^^


어청도등대,어청도,군산시,전북(2012)
artist: K.J. Kim
ⓒ879335/Topicimages(토픽이미지)
^^


어청도등대,어청도,군산시,전북(2012)
artist: K.J. Kim
ⓒ879359/Topicimages(토픽이미지)
^^

^^

사진 액자가 필요하세요??

이곳의 사진을  인화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액자를 제작, 배송해 드립니다..

^^
어청도[於靑島]
전라북도 군산시 고군산군도에 속한 섬.
육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서 물 맑기가 거울과 같다 하여 어청도라 부른다.
고군산군도에 속한 섬이며 해안선 길이는 10.8㎞이다.
군산항 서쪽 66㎞의 해상에 있으며, 고군산군도의 한 섬을 이루고 있다.
조선 말엽에는 충청남도 보령군 오천면에 속해 있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옥구군에 편입되었고, 1989년 군산시로 편입되었다.
최고점은 198m로 섬 중앙에 있으며, 섬 전체의 80%가 100m 내외의 산지로 이루어져 있어서 경지 면적은 적다.
중국 산둥반도와는 약 300㎞ 떨어져 있어 태풍이 불 때 대피항이 되어 왔다.
1월 평균기온 -0.8℃ 내외, 8월 평균기온 25.7℃ 내외, 연강수량은 1,190㎜ 정도이다.
섬의 형태는 서쪽으로 트인 ㄷ자형을 이루고 있다.
북서계절풍에 의한 침식으로 섬의 북·서쪽에는 높은 해식애가 발달하였다.
취락은 동남쪽 어청마을에 분포하며, 주민들은 대부분 어업에 종사한다.
연근해에서는 멸치·우럭·놀래기·해삼·전복 등이 잡히고, 농산물로는 마늘·채소 등이 생산된다.
주봉인 당산 위에는 봉수대가 있었는데 높이 7척, 지름 2간의 원추형 석축이었으나 현재는 일부만이 남아 있다.
멀리 떨어져 있는 섬인 만큼 고려 후기 이래 연안방어의 주요 전진기지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약 500년 수령의 소나무가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주요기관으로는 파출소·우체분국·군부대·보건지소 각 1개소와 초등학교 1개교가 있다.
군산항과 대천항에서 각각 출발하는 정기여객선이 1일 2회 운항된다.

--

군산 어청도 등대[群山於靑島燈臺]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에 있는 등대.

2008년 7월 14일 등록문화재 제378호로 지정되었다.
중국 산둥반도와 약 300㎞ 정도 거리의 옥도면 어청도에 있는 등대로, 1912년에 축조하였다.
첫 점등일은 그해 3월 1일이다. 청일전쟁 후 중국 항로의 중요성을 인식한 일제가 세운 것이다.
해발고도 61m에 위치하고 높이가 15.7m여서 그 불빛은 약 37㎞ 떨어진 곳에까지 비추고 있다. 
등대는 둥근 콘크리트 구조로 되어 있고 몸체에는 흰색 페인트칠을 했다.
전면 입구의 박공 장식과 상부에 전통 한옥의 서까래를 재구성한 조망대 꾸밈, 꼭대기의 붉은 등롱(燈籠)이 잘 어울려 조형미가 돋보인다.
더구나 등대를 둘러싼 돌담과 등대 주변의 해송, 푸른 바다와 잘 어우러져 그 자태가 더 아름답다.
몸체 구조는 처음 그대로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또한 수은의 비중을 이용한 중추식 등명기(燈明機:불을 켜 비추는 기계)의 유물과 조립식 나선형 계단,
조립식 철제 바닥판 등 등대 구성 시스템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뛰어난 조형미를 갖추고 있으며, 우리나라 등대 시스템의 요건을 골고루 갖추고 있어 자료적 가치가 크다.
뿐만 아니라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어서 군산항과 서해안의 남북항로를 지나는 모든 선박들이 이용하고 있는 중요한 등대이다.
국토해양부 군산지방해양항만청이 소유 및 관리한다.
(출처:네이버사전)
^^
▽ 어청도 등대 위치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