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비경999

(한국의비경279) 인천 옹진군 대청면 소청도 소청등대

아래 사진은 토픽이미지 계약 작가의 작품입니다..

스톡작가모집(클릭)


소청도,옹진군,인천(2009)
artist: K.J. Kim
ⓒ765591/Topicimages(토픽이미지)
http://www.topicimages.com
^^


소청도,옹진군,인천(2012)
artist: K.J. Kim
ⓒ863102/Topicimages(토픽이미지)
^^


소청도,옹진군,인천(2012)
artist: K.J. Kim
ⓒ887682/Topicimages(토픽이미지)
^^


소청도등대,옹진군,인천(2007)
artist: K.J. Kim
ⓒ532122/Topicimages(토픽이미지)
^^


등대,소청도,옹진군,인천(2012)
artist: K.J. Kim
ⓒ887697/Topicimages(토픽이미지)
^^

^^

사진 액자가 필요하세요??

이곳의 사진을  인화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액자를 제작, 배송해 드립니다..

^^
소청도[小靑島]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大靑面) 소청리에 딸린 섬. 면적 2.91㎢, 해안선길이 13.1㎞이다.
1999년 12월 말 현재 117세대에 265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다.
인천항에서 북서쪽으로 223.6km 떨어진 해상에 있다.
황해의 최북단에 위치하여 북한과 가까운 지리적 여건 탓에 선박 운항에 통제를 받고 있어 해상교통이 취약하다.
조선시대 이전까지 소암도(小岩島)라고 하였다가, 그후 대청도와 가까운 작은 섬이라는 뜻으로 소청도라고 일컬어지게 되었다.
신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1406년(태종 6) 대청도와 함께 옹진현에 편입되었다가 16세기경 다시 장연현에 소속되었다.
1793년(정조17) 대청도와 소청도에 주민의 입주와 경작이 허락되었으며, 1799년(정조 23) 두 섬을 수원부로 편입시키고 각각 진을 설치하였다.
1894년 황해도 장연군에 속하였고, 1928년 백령면에 예속되었다.
1974년 대청면에 편입되었고, 1995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로 통합되었다.
동서길이 약 9km, 남북너비 약 2km로 가로 누운 형상이며, 전체적으로 구릉성 산지이나 해안은 급경사의 암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의 정상 부근까지 농경지로 개간되었고, 전지역에 걸쳐 수크령과 참억새 등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대부분의 주민이 어업에 종사하고, 굴과 돌미역 등의 해조류 양식이 활발하다.
기암괴석이 발달하여 경관이 매우 뛰어난데, 특히 스트로마톨라이트로 이루어진
남동쪽의 분바위 해안(천연기념물 제508호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은 흰 바위와 푸른 바다가 어우러져 절경을 이룬다.
인천 연안부두에서 1일 2회 쾌속선이 운항되며, 3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
(출처:네이버사전)
^^
▽ 소청도등대 위치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