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철 기자
입력 2025.05.07. 20:36
어릴 적 고향에서 본 풍경 중에서 제일 살벌한 것은 물싸움이었다. 모내기 철에 가뭄이라도 들면 어른들은 삽을 들고 핏발이 선 눈으로 쫄쫄쫄 흐르는 도랑을 지켜보다 툭하면 언성을 높였다. 때로는 큰 물꼬를 두고 동네 싸움으로 번지기도 했다. ‘물꼬 싸움에 살인 난다’는 옛말이 있을 정도다.
▶관개시설을 잘 갖추면서 동네 물꼬 싸움은 거의 사라졌지만 국가 간 물 분쟁은 갈수록 늘고 있다. 하나의 강을 여러 국가가 공유하는 지역에서는 거의 예외가 없다. 이스라엘은 1967년 시리아가 요르단강 상류에 댐을 지으려 하자 댐을 폭격했다. 나일강 상류 에티오피아가 2011년 거대한 댐 공사를 시작하자 하류의 이집트는 실제 물 부족이 발생할 경우 군사행동도 불사하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미국과 멕시코는 관세 말고도 접경지대를 흐르는 리오그란데강을 두고 물 갈등도 심각하다. 멕시코는 미국과 맺은 협약에 따라 리오그란데강 유량 중 일정량을 매년 흘려보내야 하는데 심각해진 가뭄과 수요 급증으로 정해진 유량을 보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흐르는 강물만이 아니다. 남미엔 브라질·아르헨티나·파라과이·우루과이에 걸쳐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지하수층(과라니 대수층)이 있다. 추정치가 전 세계 인구가 200년 쓸 수 있는 엄청난 양이라고 한다. 다국적기업들이 이 지하수 개발권에 군침을 흘리고 있다. 이 지하수를 마구잡이로 개발하면 오염 문제가 생기는 것은 물론 4국이 얽혀 있어서 국제분쟁 거리로 떠오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인도와 파키스탄 충돌은 카슈미르 영유권이 근본 원인이지만 인도에서 파키스탄으로 흐르는 인더스강 6개 지류를 둘러싼 ‘물 분쟁’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파키스탄은 인더스강 물 없이는 농업과 산업의 생존이 사실상 어렵다. 최근 인도가 지난달 26명이 사망한 총기 테러를 이유로 파키스탄으로 흐르는 강물을 차단하자 파키스탄은 전쟁 행위로 간주하겠다며 핵 공격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반발하고 있다. 중국이 티베트 점령을 고집하는 이유 중 하나도 이곳이 동남아 물길의 주요 수원지라는 전략적 위치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물길은 자연이 만들었지만 국경은 사람이 그었으니 그 사이 부조화가 생기지 않을 수 없다. 세계은행은 “20세기 전쟁이 석유를 둘러싼 것이라면 21세기 전쟁은 물을 둘러싼 전쟁일 것”이라고 했다. 지금도 물 부족에 시달리는 지역이 많은데 인구 증가로 물 수요는 폭발하고 기후변화로 가뭄은 심해지고 있다. 세계은행 예언이 맞아 들어가는 것 같아 걱정이다.
원글: https://www.chosun.com/opinion/manmulsang/2025/05/07/KI5DDDOYQVA75PGLNSOEQGPTGE/
일러스트=이철원 ALL: https://ryoojin2.tistory.com/category/일러스트=이철원
'일러스트=이철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황의 묘비명 (0) | 2025.05.11 |
---|---|
[오세혁의 극적인 순간] "우리, 그 연극 다시 할까?"… 20년의 시간 여행 (0) | 2025.05.11 |
♥[만물상] 치매 머니 (0) | 2025.05.07 |
[만물상] 분리 배출 스트레스 (0) | 2025.05.05 |
[문태준의 가슴이 따뜻해지는 詩] [69] 마음 하나 (0) | 2025.05.05 |